세이헤이 함께 성장하는 블로그

삶에 대해 고민하는 일하는 직장맘의 성장을 함께 합니다. 나와 타인의 삶에 도움이 될 이야기를 함께 나눕니다. 선한 영향력을 키우고 함께 실천하는 꿈이 있습니다.

  • 2025. 3. 10.

    by. sayhey

    목차

      반응형

      오늘날 디지털 교과서 도입을 논의되고 있을 만큼 온라인 학습이 보편화 되어 있다고 볼 수 있다. 어린 시절 집으로 찾아오셔서 체크해 주시던 방문 선생님의 몫을 온라인 학습지가 대신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우리 아이도 어릴 때부터 초등학생인 지금도 온라인 학습지를 해오고 있으니 말이다. 그러나 아이가 커 갈수록 온라인 학습을 받아들이는 방식이 조금 달라지는 것 같고, 형식도 좀 달라지는 것 같다. 그래서 오늘은 온라인 학습이 아동 및 청소년기 아이들의 학습 동기와 집중력에 미치는 심리학적 차이에 대해 이야기해 보도록 할 것이다.


      온라인 학습이 아동 & 청소년의 학습 동기와 집중력에 미치는 심리학적 차이

      온라인 학습이 아동 & 청소년의 학습 동기와 집중력에 미치는 심리학적 차이: 자기결정 이론(Self-Determination Theory, SDT), 인지 부하 이론(Cognitive Load Theory), 피아제의 인지 발달 이론

       

      온라인 학습 환경이 학습 동기와 집중력에 미치는 영향

      디지털 기술의 발전과 함께 온라인 학습이 보편화되면서, 아동과 청소년의 학습 방식도 변화하고 있다. 전통적인 교실 환경과 달리, 온라인 학습은 시간과 장소의 제약 없이 학습할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하지만, 동시에 학습 동기 저하, 집중력 부족, 자기 주도 학습의 어려움과 같은 문제도 함께 발생하고 있다.

      특히, 아동과 청소년은 발달 단계에 따라 학습 동기와 집중력 유지 방식이 다르며, 온라인 학습 환경이 이들에게 미치는 영향 또한 차이가 있다. 아동은 주로 **외재적 동기(Extrinsic Motivation)**에 의해 학습하는 경향이 강하며, 교사나 부모의 피드백을 필요로 한다. 반면, 청소년은 점차 **내재적 동기(Intrinsic Motivation)**를 바탕으로 학습하지만, 온라인 학습 환경에서는 자기 주도성이 부족할 경우 쉽게 산만해질 위험이 크다.

      본 글에서는 자기결정 이론(Self-Determination Theory, SDT), 인지 부하 이론(Cognitive Load Theory), 피아제(Piaget)의 인지 발달 이론을 바탕으로 온라인 학습이 아동과 청소년의 학습 동기 및 집중력에 미치는 심리학적 차이를 분석하고, 효과적인 온라인 학습 환경을 조성하기 위한 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온라인 학습이 학습 동기에 미치는 영향

      온라인 학습 환경에서 아동과 청소년의 **학습 동기(Motivation)**는 발달 단계에 따라 다르게 작용한다.

       

      1. 아동기의 학습 동기: 외재적 보상과 상호작용의 중요성

      아동들은 일반적으로 **외재적 동기(Extrinsic Motivation)**에 의해 학습하는 경향이 강하다. 이는 부모나 교사의 칭찬, 보상, 점수와 같은 외부적인 요인이 학습에 대한 동기를 부여하는 방식이다. 미국 심리학회의 연구(2021)에 따르면, 6~10세 아동들은 교사의 직접적인 피드백과 칭찬이 있을 때 학습 동기가 높아지는 경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온라인 학습 환경에서는 교사와의 상호작용이 제한되면서, 학습 동기가 감소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온라인 학습에서도 즉각적인 피드백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 필요하다. 예를 들어, 퀴즈 결과 피드백이나 칭찬 메시지를 자동으로 제공하는 방식이 학습 동기 유지에 도움이 될 수 있다. 또한, 아동들이 온라인 학습을 할 때 부모나 교사가 함께 참여하여 지속적으로 동기를 부여하는 것이 중요하다.

       

      2. 청소년기의 학습 동기: 자기 결정성과 의미 있는 학습 경험

      청소년들은 점차 **내재적 동기(Intrinsic Motivation)**에 의해 학습하는 경향이 강해지며, 학습을 의미 있는 경험으로 인식할 때 더 높은 동기를 갖는다. 자기결정 이론(Self-Determination Theory, Deci & Ryan, 2000)에 따르면, 청소년들은 학습의 자율성(Autonomy), 유능감(Competence), 관계 형성(Relatedness)이 보장될 때 더 높은 학습 동기를 보인다. 그러나 온라인 학습 환경에서는 교사와의 관계 형성이 약해지고, 학습 과정에서 스스로 동기를 부여해야 하는 부담이 증가하면서 학습 동기가 감소할 수 있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 청소년들에게 학습 선택권을 부여하여 자율성을 높이는 것이 필요하다. 예를 들어, 프로젝트 기반 학습이나 선택형 과제를 제공하는 방식이 효과적일 수 있다. 또한, 온라인 학습에서도 또래와의 협력 학습 활동(그룹 토론, 팀 프로젝트 등)을 포함하여 관계 형성을 강화하는 것이 학습 동기 유지에 도움이 된다.

       

      온라인 학습이 집중력에 미치는 영향

      집중력(Attention)은 학습의 성과를 결정짓는 중요한 요소이며, 아동과 청소년은 발달 단계에 따라 집중력 유지 방식이 다르다.

       

      1. 아동기의 집중력: 짧은 주의 지속 시간과 외부 자극의 영향

      아동들은 상대적으로 주의 지속 시간(Attention Span)이 짧으며, 외부 자극(소리, 영상, 게임 요소 등)에 의해 쉽게 산만해질 가능성이 높다. 피아제(Piaget)의 인지 발달 이론에 따르면, 아동기는 구체적 조작기(Concrete Operational Stage, 7~11세)에 해당하며, 시각적이고 직접적인 학습 자료를 통해 더 쉽게 이해할 수 있다. 그러나 온라인 학습 환경에서 지나치게 복잡한 자료나 긴 시간 동안 집중해야 하는 학습 방식은 아동의 집중력을 저하시킬 수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학습 내용을 짧고 명확한 단위로 나누어(마이크로 러닝, Micro Learning) 제공해야 한다. 또한, 시각적 요소(애니메이션, 이미지)와 신체 활동을 결합하여 아동의 주의력을 유지하는 방법을 활용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2. 청소년기의 집중력: 멀티태스킹과 인지 부하 증가 문제

      청소년들은 아동기보다 긴 시간 동안 집중할 수 있지만, 온라인 학습 환경에서는 멀티태스킹(Multitasking)과 인지 부하(Cognitive Load)가 집중력 저하를 유발할 수 있다. 스탠포드 대학(2021)의 연구에 따르면, 온라인 학습 중 멀티태스킹(예: SNS 사용, 동영상 시청)을 하는 청소년들은 집중력이 크게 저하되며, 학습 효과가 40% 이상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예방하기 위해 온라인 학습 중 멀티태스킹을 방지할 수 있도록 ‘집중 학습 모드(Focus Mode)’를 설정하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인지 부하를 줄이기 위해 한 번에 너무 많은 정보를 제공하기보다는, 핵심 개념을 중심으로 정리된 자료를 제공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결론

      효과적인 온라인 학습 환경을 조성하기 위한 방향

      아동과 청소년은 발달 단계에 따라 학습 동기와 집중력 유지 방식이 다르며, 온라인 학습 환경이 이들에게 미치는 영향도 다르게 나타난다. 아동은 외재적 동기에 의해 학습하는 경향이 강하므로, 즉각적인 피드백과 부모 또는 교사의 적극적인 개입이 필요하다. 반면, 청소년은 내재적 동기를 기반으로 학습하지만, 자기 주도성이 부족할 경우 학습 동기가 쉽게 저하될 수 있으므로, 자율성을 부여하고 협력 학습을 강화하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집중력 유지 측면에서 아동은 짧고 명확한 학습 단위가 필요하며, 청소년은 멀티태스킹을 줄이고 인지 부하를 고려한 학습 설계가 필요하다. 이를 통해, 온라인 학습의 장점을 극대화하면서도 학습 동기와 집중력을 높일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는 것이 핵심 과제가 될 것이다.

      반응형